1. 일조

태양 광선이 구름이나 안개로 가려지지 않고 땅 위를 비치는 것을 말하며,

실제로 비친 시간을 일조시간이라고 한다.

일조시간은 보통 1일이나 한 달 동안에 비친 총시간수로 나타낸다.


2. 가조시간

산이나 언덕 등의 장애물이 없다고 가정하여,

어느 지점에 햇빛이 비칠 수 있는 시간이 미리 계산되어 있는데

이것을 가조시간이라고 한다.


3. 일조율

어떤 날의 실제의 일조시간과 이 가조시간과의 비를 일조율이라고 한다.


산간 지방에서는 구름이나 안개가 없을 때도 일조시간이 가조시간보다 짧다.

일조율은 낮의 기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농업기상이나 장기예보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일사

지표면에 도달한 태양복사에너지를 말한다.

태양복사는 대기를 통과하는 동안에

공기 분자·먼지·수증기 등에 의하여 감쇠되는데, 

대기 중의 어느 한 점 또는 지표의 어느 한 점에서 받는 태양복사를 가리킨다.


5. 기상학적으로는

지구 표면의 수평면이 직접 태양으로부터 받는 것을 직달일사라고 하며,

천공의 각 부분으로부터

지표의 수평면에 도달하는 산란광의 합계를 전천일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일사량이라고 하면 수평면에 받는 에너지로

태양으로부터 받는 직달광과 천공으로부터 오는 산란광의 합을 의미한다

 


6. 일조시간은 태양의 직사광선이 지표를 비추는 시간의 길이를 말합니다.

보통 시간단위로 표시하며, 구름, 운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일조량은 일정한 물체의 표면이나 지표면에 비치는 햇볕의 양을 말합니다.

일사량은 태양의 복사량을 말하는데 1제곱센티미터 넓이에 1분 동안의 복사량을 표시하는 것

 

7. 기상청 홈페이지 일조시간

    우리나라 지역별 일조시간을 보면은 1900~2100시간 까지 다양합니다.

    서울지역은 1996시간 평균일조시간은 5.45시간

 

    여기에 종합효율계수(k)라는 개념 적용 통상 0.7적용

    그늘, 먼지, 적운, 적설, 환경오염도, 모듈표면온도를 통한 온도계수,

     인버터 평균효율, 모듈연결 배선상태 등의 요인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5.45시간 * 종합효율 0.7 = 3.8시간이 나옵니다.

    정남향의 경사도 30도 기준

   *기상청의 일조시간이 높은 제주도 smp

 



'태양광 >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S  (0) 2018.04.08
설치형태  (0) 2016.11.30
태양광발전 시스템(ESS포함)  (0) 2016.10.28
음영을 알수 있을가?  (0) 2016.06.28
자전과공전  (0) 2015.10.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