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한전계통 전압이 높아지는 경우 한전 탭조정 요청.

 

인버터가 발전(기동)하면 송전을 해야 하기에 인버터 전압이 더 상승하기 마련이다.

이 때 인버터의 과전압 방지 기능으로 발전이 정지하게 된다.


- 일일 발전그래프 확인 필요

기준 전압 380v + - 10v가 넘는다면 변압기 탭조정을 하는 것이 좋다.

 

단독변대가 아니면 한전에서 탭조정을 않해준다.

이럴 경우 인버터에서 전압범위를 어느 정도 조정할 수는 있지만

기계보호 차원에서 안하는 것이 좋다.

 

 

                    3상전압(기준전압 380v)                 단상전압(기준전압 220v)

'태양광 > 인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버터 점검 - 급기구 분진  (0) 2018.04.27
INVERTOR  (0) 2018.04.08
인버터  (0) 2016.01.26

1. 발전량이 나빠지는 것 같다.

2. 점검시 인버터 가동중에도 Fault list 확인

3. 모니터링 발전량 그래프가 끈기는 곳이 없는지 확인

4. 인버터 내부 온도 상승으로 피크시 간헐적으로 가동 정지

 

현대 인버터

그림1) 인버터 급기구 분진으로 막힘현상 발생

그림2) 인버터 급기구 분진제거 후

'태양광 > 인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계통 전압  (0) 2018.05.08
INVERTOR  (0) 2018.04.08
인버터  (0) 2016.01.26

1. 인버터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다.

 * CONVERTOR(RECTIFIER) : 교류를 직류로 변환

2. 스트링방식

 한개 초과로 설치하는 것
예) 20kw * 5 = 100kw

3. 센츄럴 방식

 한개로 설치하는 것
 예) 100kw * 1 = 100kw

4. 인버터에서 중요한 부품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직류를 필요로하는 전자기기를 교류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교류를 작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기(A/D Converter)를 필요로한다.
 교류를 필요로하는 전자기기를 축전지로 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Inverter)를 필요로 한다.
 IGBT는 쌍극성 트랜지스터의 장점(우수한 도통성)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장점(출력손실이 없는 제어)을 결합한 소자이다.

5. 인버터 안에

  변압기가 있으면 변압기형 인버터
  없으면 무변압기형 인버터라 한다.

6. 비

  맞아도 되면 아웃도어형(실을 안 지어도 되네요.)
  안되면 인도어형(실을 지어야하네요.)

7. 좋은 것이란?

  인버터-무고장이거나,
  제조사-A/S가 빨라야 한다.
  그래서, 스트링방식으로 고장시 대체로 변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태양광 > 인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계통 전압  (0) 2018.05.08
인버터 점검 - 급기구 분진  (0) 2018.04.27
인버터  (0) 2016.01.26

 

 

 

 

 

1. 스트링 방식 인버터 20kw * 5 , 이 방식은 보호계정기를 요한다.

   센츄럴 방식 100KW * 1

2.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게이트양극성트랜지스터;

   직류를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교류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기

   (A/D Converter)를 필요로 한다. 반대로

   교류를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축전지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inverter)

   를 필요로 한다.
   IGBT는 쌍극성 트랜지스터의 장점(우수한 도통성)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장점(출력손실이 없는

   제어)을 결합한 소자이다.

3. 변압기형, 무변압기형

 

 

 

 

 

 

 

 









'태양광 > 인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계통 전압  (0) 2018.05.08
인버터 점검 - 급기구 분진  (0) 2018.04.27
INVERTOR  (0) 2018.04.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