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측시스템(모니터링 시스템)

   계측표시와 목적

    검출기(Sensor), 신호변환기(Transducer), 연산장치, 표시장치

2. 구성요소와 구성요소의 역활

   2-1. 검출기(센서) :

          전압,전류,주파수,일사량,기온,풍속등의 전기신호를 검출

   2-2. 신호변환기(트랜스듀서) :

          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의 0~100%를 0~5V, 4~20mA로

          변환하여 원거리 전송

   2-3. 연산장치 ;

          계측데이터를 적산하여 일정기간마다의 평균값 또는 적산값을 연산

   2-4. 표시장치 :

          순시발전량이나 누적발전량, 석유절약량, Co2 삭감량을 표시

'태양광 > 접속반 배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kw  (0) 2016.07.11
계량기+분전반  (0) 2016.01.26
접속반  (0) 2016.01.26





'태양광 > 접속반 배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측시스템  (0) 2018.04.20
계량기+분전반  (0) 2016.01.26
접속반  (0) 2016.01.26

 

 

 

분전반 = 배선차단기 + 누전차단기 + 낙뢰보호기(SPD : Surge Protection Device, 과전압보호)

 

 

100kw 용

 

 

200kw 용

 

 

 

 

100kw

 

 

 

 

 

 

배전함 : 단자대, 직류측 개폐기, 역류방지소자, SPD 등을 설치하는 함이다.

 

1.차단기와 개폐기에 대한 용어에 대한 이해

  1) 차단기의 한자어는 막을 차(遮), 끊을 단(斷)을 쓰는데 그 의미대로 해석하면 막아주고 끊어주는 기기입니

      다. 즉, 이상상태가 감지시 회로를 차단하여 주는 기기입니다.

  2) 이에 반해 개폐기의 한자어는 열 개(開), 닫을 폐(閉)자로 회로를 개폐해주는 기기입니다.

  3) 차단기와 개폐기는 회로를 on-Off 하는 행위가 같다고 볼 수 있지만, 두 제품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

      다.

 4) 개폐기는 정상적인 회로에서도 사용자가 필요시 임의로 회로를 on-Off 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5) 반면, 차단기는 제품의 목적이 전기회로에 이상전류 등이 발생한 경우, 회로 내부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 예

     상되는 시점에서 이를 사전에 감지해 강제로 회로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해 볼 때, 차단기(Breaker)와 개폐기(Switch)는 그 사용 목적에서부터 다르다 할 수 있습니다.

 

2. 차단기

 1) 배선용차단기

    ①MCCB : Mold Case Current Breaker

    ②NFB : No Fuse Breaker

 2) 누전차단기

    ①ELB :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②ELB는 과전류가 흘러 과부하가 발생했을때의 차단도 되지만 주 기능은 누전 차단기능입니다.

    ③배선용 차단기보다는 가격이 조금 더 고가다.

    ④단순 배선용 차단기는 누전차단기능이 없기 떄문에 과부하가 걸렸을때는차단기가 녹아 버립니다.


 

 

'태양광 > 접속반 배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측시스템  (0) 2018.04.20
3kw  (0) 2016.07.11
접속반  (0) 2016.01.26

 

 

 

 

 

 

 

 

 

 

 

 

 

 

-직류 개폐기(MCCB), 피뢰소자(SPD), 역류방지소자(DIOD), 단자대 등을 설치한다.

또한 절연저항측정이나 정기적인 단락전류 확인을 위해서 출력단락용 개폐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태양광 > 접속반 배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측시스템  (0) 2018.04.20
3kw  (0) 2016.07.11
계량기+분전반  (0) 2016.01.26

+ Recent posts